본문 바로가기
공부/의학

요로결석

by Joseph121 2025. 1. 21.
반응형

요로결석(Urinary stones)은 신장, 요관, 방광, 요도 등에 미네랄염분이 축적되어 단단한 돌(결석)을 형성하는 질환입니다. 결석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통증과 배뇨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, 치료가 필요할 때도 많습니다. 요로결석은 주로 신장에서 형성되어 요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 

1. 요로결석의 종류

 

요로결석은 결석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:

1. 칼슘 결석 (Calcium stones):

가장 흔한 유형으로, 결석의 대부분이 칼슘옥살산 또는 인산과 결합하여 형성됩니다.

원인: 칼슘 과잉 섭취, 옥살산이 많은 음식(예: 시금치, 초콜릿, 견과류) 섭취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2. 요산 결석 (Uric acid stones):

요산이 축적되어 형성됩니다. 요산은 단백질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며, 고단백질 식사나 고 purine 음식을 많이 섭취한 사람들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원인: 고단백질 식단, 비만, 약물 복용, 탈수 등이 요산 결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3. 스트루바이트 결석 (Struvite stones):

요로감염에 의해 형성되는 결석으로, 질소화합물마그네슘이 결합해 형성됩니다.

원인: 주로 요로감염이 지속될 때 발생하며,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겪습니다.

4. 시스틴 결석 (Cystine stones):

시스틴이라는 아미노산이 과도하게 배설되어 형성되는 드문 유형의 결석입니다.

원인: 유전적 요인에 의한 시스틴뇨증이 주요 원인입니다.

 

2. 요로결석의 원인

 

요로결석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, 이들 중 일부는 생활 습관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:

탈수: 충분한 수분 섭취가 부족할 경우, 소변이 농축되어 결석이 형성될 확률이 높아집니다.

식이 요인: 고칼슘, 고옥살산, 고단백질 식단은 결석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비만: 과체중이나 비만은 결석 형성의 위험 요소입니다.

유전적 요인: 가족력이 있는 경우, 요로결석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

기타 질환: 고혈압, 당뇨병, 염증성 장질환 등은 결석 형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.

약물: 일부 약물(예: 이뇨제, 항산화제 등)은 결석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 

3. 요로결석의 증상

 

요로결석의 증상은 결석의 크기, 위치, 이동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. 작은 결석은 증상이 없을 수 있지만, 크거나 이동하는 결석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:

극심한 통증: 결석이 요로를 지나면서 발생하는 통증은 매우 강렬할 수 있으며, 이를 신장 산통(renal colic)이라고도 합니다. 통증은 보통 허리옆구리, 아랫배에 집중되며, 때로는 하복부사타구니로 방사될 수 있습니다.

배뇨 시 통증: 배뇨 시 통증이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혈뇨: 소변에 가 섞여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 소변이 붉거나 분홍색일 수 있습니다.

빈뇨: 자주 소변을 보고 싶거나 소변을 참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메스꺼움과 구토: 통증이 심할 경우 메스꺼움구토를 동반할 수 있습니다.

발열: 결석이 요로에 감염을 일으킬 경우 발열오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4. 요로결석의 진단

 

요로결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:

소변 검사: 소변에서 혈액이나 결석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혈액 검사: 요산 수치나 칼슘 수치를 측정하여 결석 형성 가능성을 평가합니다.

X-ray: 신장이나 요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일부 결석은 X-ray에서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초음파 검사: 결석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.

CT 스캔: 결석의 크기, 위치, 형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.

 

5. 요로결석의 치료

 

요로결석의 치료는 결석의 크기, 위치,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달라집니다.

 

1) 보존적 치료

수분 섭취 증가: 물을 많이 마셔 결석을 배출하도록 돕습니다. 하루에 2~3리터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.

진통제: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**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(NSAIDs)**나 진통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.

약물 치료: 결석이 작은 경우, 약물(예: 알파 차단제)을 사용하여 결석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
 

2) 침습적 치료

체외충격파쇄석술 (ESWL): 체외에서 충격파를 이용해 결석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합니다.

내시경 수술: 요관경을 통해 결석을 직접 제거하거나, 결석을 부수는 방법입니다.

경피적 신절개술 (PCNL): 큰 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신장에 작은 절개를 가해 결석을 제거합니다.

수술적 치료: 다른 방법으로 결석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, 수술을 통해 결석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
 

6. 요로결석 예방

 

요로결석은 예방이 가능합니다. 주요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충분한 수분 섭취: 소변이 농축되지 않도록 충분히 물을 마십니다.

식이 요법:

칼슘 섭취 조절: 칼슘을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
옥살산이 많은 음식 제한: 시금치, 초콜릿, 견과류 등의 과다 섭취를 피합니다.

고단백 식단 제한: 과도한 단백질 섭취는 요산 결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체중 관리: 비만을 예방하고,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.

약물 복용: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석 예방을 위한 약물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결론

 

요로결석은 신장, 요관, 방광 등에서 형성된 단단한 미네랄 덩어리로, 극심한 통증과 배뇨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입니다. 적절한 수분 섭취와 식이 요법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, 결석이 발생했을 때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결석을 제거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반응형

'공부 > 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라섹(LASEK,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)  (0) 2025.01.21
감기와 독감  (0) 2025.01.21
통풍  (0) 2025.01.21
당뇨병  (0) 2025.01.21
라식(LASIK, Laser-Assisted in Situ Keratomileusis)  (0) 2025.01.20